맨위로가기

부요 (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요는 일본 전통 무용을 통칭하는 용어로, 좁은 의미로는 가부키 무용만을 의미한다. 메이지 시대에 영어의 'dance'를 번역하면서 만들어진 단어로, 일본 무용은 가부키 무용, 가미가타마이, 신부요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일본 무용은 마이, 오도리, 후리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가부키, 노, 교겐, 분라쿠 등 다양한 예술 형태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 무용에는 200개가 넘는 유파가 존재하며, 니시카와류, 후지마류, 반도류, 하나야기류, 와카야기류를 5대 유파로 꼽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요 (춤)
개요
정의일본 무용 (nihon-buyō)은 일본의 전통적인 무용 예술의 총칭이다.
유형가부키 부요 (kabuki buyō)
가미가타 마이 (kamigata mai)
소사쿠 부요 (sosaku buyō)
기원 및 역사
어원'부요(舞踊)'라는 단어는 '마이(舞)'와 '오도리(踊)'의 두 가지 주요 움직임 스타일을 결합한 것이다.
스타일마이 (mai): 부드럽고 억제된 움직임이 특징.
오도리 (odori): 더 활기차고 율동적인 움직임이 특징.
역사적 발전가부키 부요 (kabuki buyō)에서 유래.
메이지 시대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
신무용 (sosaku buyō) 등장.
특징
음악나가우타, 도키와즈, 돗토리 등의 음악 반주를 사용한다.
의상기모노 및 전통 의상을 착용한다.
연출부채, 수건 등의 소품을 활용한다.
표현일본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정서를 표현한다.
주요 요소
가타 (kata)전통적인 형식과 움직임 패턴.
후리 (furi)특정한 감정이나 의미를 전달하는 몸짓.
오도구 (dogu)춤에 사용되는 소품 (부채, 수건 등).
영향
현대 무용현대 무용과 공연 예술에 영향을 미치고 융합되기도 한다.
참고 용어
가부키 (kabuki)일본의 전통적인 연극.
노 (noh)일본의 전통적인 가면극.
분라쿠 (bunraku)일본의 전통적인 인형극.
관련 단체
일본 무용 협회일본 무용의 진흥 및 보존을 위한 단체.

2. 정의

"무용(舞踊)"은 메이지 시대 초기에 극작가 쓰보우치 쇼요와 후쿠치 겐이치로가 영어의 'dance'에 해당하는 번역어로 고안한 복합어이다. 이는 일본 고유의 춤을 나타내는 '舞|마이일본어'와 '踊|오도리일본어'의 두 글자를 결합한 것이다. 이후 서양의 'dance'와 구분하여 일본 전통 춤을 지칭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일본 무용'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2. 1. 광의의 일본 무용 (일본의 무용)

넓은 의미의 日本舞踊|니혼부요일본어(일본 무용)는 가부키 무용, 上方舞|가미가타마이일본어, 新舞踊|신부요일본어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9]

광의의 일본 무용 종류
명칭설명
가부키 무용 (歌舞伎舞踊|가부키 부요일본어)좁은 의미의 日本舞踊|니혼부요일본어는 가부키 무용만을 지칭하기도 한다. 가부키 연극에서 파생된 춤 양식이다.
上方舞|가미가타마이일본어 (地唄舞|지우타마이일본어, 座敷舞|자시키마이일본어)교토오사카 등 간사이(옛 가미가타) 지역에서 발생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춤이다. 주로 실내의 작은 공간(다다미 한 장 정도)에서 공연되었으며, 느리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특징이다. 샤미센 독주곡인 地唄|지우타일본어에 맞춰 추기도 한다. 공연 장소의 이름을 따 座敷舞|자시키마이일본어라고도 불린다.
新舞踊|신부요일본어 (創作舞踊|소스쿠부요일본어)20세기 들어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새로운 형태의 일본 무용이다. 다이쇼 시대(1912년~1926년)에 작가 츠보우치 쇼요가 서양 예술의 영향을 받아 가부키의 변화를 주장하면서, 새로운 표현을 모색하는 예술가들에 의해 창작되기 시작했다.



'무용(舞踊)'이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 초기에 극작가 츠보우치 쇼요와 후쿠치 겐이치로가 영어 단어 'dance'를 번역하기 위해 만든 번역어이다. 이는 일본 고유의 춤을 나타내는 舞|마히일본어와 踊|오도리일본어를 합쳐 만든 복합어이다. 츠보우치 쇼요가 자신의 저서 『신락극론』(1904년, 메이지 37년)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후 서양의 'dance'를 지칭하는 '무용'과 일본 전통 춤을 구분할 필요가 생기면서, 후자를 '일본 무용'(日本舞踊|니혼부요일본어)이라 부르기 시작했고, 이 표현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무용 평론가 토베 긴사쿠(戸部銀作)는 일본 무용의 구성 요소로 마음, 근성, 표현, 형태, 움직임, 간격, 위치, 흐름의 여덟 가지를 들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연기자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본 무용은 배역에 따라 세부 동작까지 정형화된 틀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2. 2. 협의의 일본 무용

좁은 의미에서 日本舞踊|니혼 부요일본어는 오로지 歌舞伎舞踊|가부키 부요일본어만을 가리킨다.[10]

日本舞踊|니혼 부요일본어라는 용어는 메이지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 歌舞伎舞踊|가부키 부요일본어는 所作事|쇼사고토일본어, 景事|케이고토일본어, 振事|후리고토일본어 또는 더 간단히 踊|오도리일본어와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11]

대략 1673년에 처음 등장한 所作事|쇼사고토일본어의 안무가들은 아마추어에게 이 춤을 가르치기 위해 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12] 1955년부터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歌舞伎舞踊|가부키 부요일본어가부키 배우와 日本舞踊|니혼 부요일본어 무용가 모두에 의해 공연된다.

3. 일본 무용의 종류 (광의)

"춘하추동"(사계) 춤


일본의 전통 무용인 日本舞踊|니혼 부요jp는 크게 세 가지 주요 요소로 나눌 수 있다: 舞|마이jp, 踊|오도리jp, 그리고 振|후리jp이다.[14] 이 세 요소는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다.

  • 마이(舞jp)는 노 극의 각색 장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의례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정적이고 추상적인 움직임을 특징으로 한다.[15]
  • 오도리(踊jp)는 10세기경 불교 승려가 고안한 念仏踊り|넨부츠 오도리jp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역동적이고 리듬감 있는 움직임을 보인다.[14]
  • 후리(振jp)는 편지를 쓰거나 술을 마시는 등 에도 시대의 일상적인 행동을 모방한 연극적이고 구체적인 몸짓 언어를 포함한다.[16]

3. 1. 마이 (舞)

장엄한 노래나 음악에 맞춰 미끄럼발이나 조용한 동작으로 무대를 도는 것을 말한다. 마음의 내면을 수평적인 동작으로 표현하며, 주술적 요소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귀족적인 성격을 띠며, 무대 예능으로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마이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궁정의 제사에 봉납되는 것
  • * 가가쿠 雅楽|가가쿠일본어
  • * 부가쿠 舞楽|부가쿠일본어
  • 민간의 제례에서 피로되는 것
  • * 가구라 神楽|가구라일본어
  • * 덴가쿠 田楽|덴가쿠일본어
  • 노래와 춤의 양식을 취하는 것
  • * 사루가쿠 猿楽|사루가쿠일본어
  • * 시라뵤시 白拍子|시라뵤시일본어
  • * 엔넨 延年|엔넨일본어
  • * 쿠세마이 曲舞|쿠세마이일본어
  • * 코와카마이 幸若舞|코와카마이일본어
  • 무대 연극화된 것
  • * 노가쿠 能楽|노가쿠일본어

3. 2. 오도리 (踊)

경쾌한 노래나 음악에 맞춰 의미를 담은 육체적 동작을 율동적으로 표현한다. 신불교의 융성과 함께 특히 가마쿠라 시대에 발달했다.

  • 민중의 오락으로 발달한 것
  • * 염불춤
  • * 본오도리
  • ** 아와오도리
  • ** 구조 춤
  • ** 니시모나이 춤
  • ** 그 외 각지에 다수

3. 3. 후리 (振)

노래나 음악에 맞춰 일상적인 움직임이나 몸짓을 무용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연극적 요소가 강하며, 에도 시대가부키와 인형 죠루리의 발달과 함께 파생되었다.

후리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가미가타 마이(上方舞)(가미가타마이): 병풍을 세운 다다미방에서 추는 것.
  • 가부키 무용(歌舞伎舞踊)(가부키부요): 무대 연극화된 것.
  • 소사고토(所作事)라고도 한다. 죠루리나 나가우타를 반주로 사용하여 춘다. 죠루리는 다케모토・토키와즈・키요모토 등을 사용하며, 이야기성이 짙다. 나가우타의 소사고토는 곡에 맞춰 동작의 재미를 보여주는 면이 있다.

3. 4. 기타

비교적 새로운 무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분류무용 종류
일본 무술을 무용화한 것봉수 棒の手|보노테jpn
검무 剣舞|겐부jpn
시무 詩舞|시부jpn
근대 이후의 무용신무용 新舞踊|신부요jpn
가요 무용 歌謡舞踊|가요부요jpn
음영검시무 吟詠剣詩舞|긴에이 겐시부jpn


4. 춤 스타일과 요소 (협의, 가부키 무용)

주로 남성 배우가 공연하는 노, 교겐, 가부키, 분라쿠와 달리, 일본 무용(日本舞踊|니혼 부요일본어)은 여성도 공연에 참여할 수 있다. 일본 무용에는 크게 두 가지 춤 스타일이 있는데, 여성 역할을 표현하는 女形|온나가타일본어와 남성 역할을 표현하는 立役|다치야쿠일본어가 그것이다.[12] 이러한 특징 덕분에 여성 무용수가 남성 역할을 맡거나, 남성 무용수가 여성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4. 1. 주요 요소

日本舞踊일본어(니혼 부요)에는 세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 舞일본어(마이), 踊り일본어(오도리) 및 振り일본어(후리)이다.[14]

  • 일본어(마이): 의례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정적이고 추상적인 움직임으로, 종종 노 극장에서 영향을 받은 안무에 나타난다.[15]
  • 踊り일본어(오도리): 10세기경 불교 승려가 시작한 춤인 念仏踊り일본어(넨부츠 오도리)에서 유래했으며, 역동적이고 리듬감 있는 움직임이 특징이다.[14]
  • 振り일본어(후리): 편지를 쓰거나 술을 마시는 등 에도 시대 일상생활의 행동을 묘사하는 연극적이고 비유적인 몸짓을 포함한다.[16]

5. 영향

부요(舞踊)는 일본의 다양한 전통 극장 예술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왔다. 특히 가부키, , 교겐, 분라쿠는 부요의 레퍼토리, 안무, 연출 방식 등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영향은 오늘날에도 부요와 각 장르가 공유하는 작품이나 연기 기법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1. 가부키

일본 무용은 가부키의 음악가나 배우, 또는 일반 배우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일본 무용과 가부키는 오늘날에도 동일한 춤 레퍼토리를 공유하고 있다.[17]

5. 2. 노 (能)

부요(舞踊)에는 (能) 연극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이 많다. 부요의 세 가지 주요 계열인 三番叟物일본어, 道成寺物일본어, 石橋物일본어는 노 연극인 翁일본어, 도조지(道成寺), 石橋일본어에서 각색되었다.[18] 메이지 시대가부키가 노 드라마를 각색하는 방식에서 영감을 얻어 노에서 각색된 松羽目物일본어 레퍼토리 시리즈도 있다.[19] 이들 작품의 경우, 노의 춤(舞일본어)이 안무에 통합된다.[20]

노 연극 翁일본어는 풍요로운 수확과 번영을 위한 춤과 기도를 융합한 가장 신성한 연극으로, 오키나, 센자이, 산바소라는 세 인물이 등장한다. 이 중 산바소의 역동적인 춤은 가부키에서 일련의 三番叟物일본어 레퍼토리를 낳았다. 연극 寿式三番叟일본어는 가장 의례적인 작품이며, 나머지 레퍼토리(操三番叟일본어, 二人三番叟일본어, 舌出し三番叟일본어, 雛鶴三番叟일본어, 式三番叟일본어, 廓三番叟일본어 등)는 가부키를 위해 더욱 흥미로운 측면을 발전시킨 것이다.[27]

가부키 춤 교가노코 무스메 도조지의 묘사.


1951년 나카무라 우타에몬 6세의 교가노코 무스메 도조지 공연.


도조지(道成寺) 설화에서 영감을 얻은 노의 도조지(Dōjōji)는 가부키 춤으로 각색되어 교가노코 무스메 도조지가 되었고, 이 작품은 이후 주요 레퍼토리 시리즈인 니닌 도조지, 男女道成寺일본어, 鐘岬일본어, 大津絵道成寺일본어, 双面道成寺일본어, 奴道成寺일본어 등을 탄생시켰다.[28]

노 연극 石橋일본어는 불교 승려가 중국 세이료산에서 모란과 함께 노는 신화 속 사자를 보는 내용이다. 가부키 시대 초기에 女方일본어(여성 역할) 춤으로 각색되어 相生獅子일본어, 執着獅子일본어, 枕獅子일본어 등의 작품으로 이어졌다. 메이지 시대 즈음에는 이 각색이 노에 더 가까워졌는데, 웅장한 사자 춤은 鏡獅子일본어와 連獅子일본어에서 立役일본어(남성 배우)에 의해 공연된다.[29]

가부키 무용극 간진초에서 마츠모토 코시로 7세.


에도 시대에는 무사 계급과 서민 계급의 연예인 가부키가 구분되면서, 가부키 무용에서 노의 각색은 내용, 등장인물, 연출을 완전히 변경하여 원작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에는 가부키가 고상한 복장의 노를 도입하여 대중적인 이미지를 쇄신하려 했다. 이 시기 노의 각색은 원작의 내용과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고상한 취향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간진초, 후나벤케이, 모미지가리, 하고로모, 하시벤케이, 모치즈키, 쇼조 등이 있다.[19]

5. 3. 교겐 (狂言)

노와 마찬가지로, 메이지 시대 이후 가부키 무용에서 교겐이 각색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미가와리-자젠, 보시바리, 차츠보 등이 있다.[21] 그러나 메이지 시대 이전에도 쓰리-기쓰네, 우쓰보자루, 스에-히로가리 등과 같이 교겐을 각색한 작품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가부키 스타일로 변형되었다.[21]

5. 4. 분라쿠 (文楽)

부요가부키 연극의 한 장면으로, 분라쿠에서 각색된 落人|오치우도일본어, 八段目|하치단메일본어, 吉野山|요시노야마일본어 등을 연기하며, 이는 가나데혼 주신구라와 요시쓰네 센본자쿠라와 같은 분라쿠에서 각색된 연극이다.[22]

게다가 분라쿠에서 각색된 부요 연극 (예: 櫓のお七|야구라노 오시치일본어, 日高川|히다카가와일본어)의 클라이맥스 부분에서는 닌교부리(人形振り|닌교부리일본어, 인형의 움직임을 모방한 연기)가 사용되는데, 인형극 배우들이 배후에서 캐릭터를 지지하며 마치 인형처럼 움직인다.[23]

6. 연극 (협의, 가부키 무용)



노 연극 翁|오키나일본어에서 풍요로운 수확과 번영을 위한 춤과 기도를 융합한 가장 신성한 연극에는 오키나, 센자이, 산바소라는 세 인물이 등장한다. 후자의 역동적인 춤은 가부키에서 일련의 三番叟物|산바소 모노일본어 레퍼토리를 낳았다. 연극 寿式三番叟|고토부키 시키 산바소일본어는 가장 의례적인 작품이며, 나머지 레퍼토리는 가부키를 위해 더욱 흥미로운 측면을 발전시킨다. 操り三番叟|아야츠리 산바소일본어, 二人三番叟|니닌 산바소일본어, 舌出し三番叟|시타다시 산바소일본어, 雛鶴三番叟|히나즈루 산바소일본어, 式三番叟|시키 산바소일본어, 廓三番叟|쿠루와 산바소일본어 등이 있다.[27]

도조지 설화에서 영감을 얻은 노(能)의 도조지는 가부키 춤으로 각색되어 교가노코 무스메 도조지가 되었고, 이 작품은 이후 주요 레퍼토리 시리즈인 니닌 도조지, 메오토 도조지, 가네노 미사키, 오츠에 도조지, 후타오모테 도조지, 약코 도조지 등을 탄생시켰다.[28]

노(Noh) 연극 石橋|샤쿄일본어는 불교 승려가 중국 세이료산에서 모란과 함께 노는 신화 속 사자를 보는 내용으로, 가부키 시대 초기에 女形 (여성 역할) 춤으로 각색되어 相生獅子|아이오이 지시일본어, 執着獅子|슈자쿠 지시일본어, 枕獅子|마쿠라 지시일본어 등의 작품으로 이어졌다. 메이지 시대 즈음에 이 각색은 노(Noh)에 더 가까워졌는데, 웅장한 사자 춤은 鏡獅子|카가미 지시일본어와 連獅子|렌지시일본어에서 立役 (남성 배우)에 의해 공연된다.[29]

일본 무용의 많은 작품들은 유령이나 환영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浅間物|아사마 모노일본어'''

: 약혼한 남자가 전에 사랑했던 유녀의 편지를 불태운다. 연기 속에서 유녀의 영혼이 나타나 원망하며 말한다. 이 연극, 傾城浅間嶽|케이세이 아사마다케일본어는 高尾懺悔|타카오 잔게일본어(유녀에게 주어진 칭호인 傾城|케이세이일본어(문자 그대로 "성 무너뜨리는 자") 타카오의 고백)와 같은 변형을 낳았다.[29]

'''双面物|후타오모테 모노일본어'''

: 외모가 완전히 똑같은 두 등장인물이 함께 춤을 추고, 그 중 한 명이 자신의 진정한 유령의 모습을 드러낸다. 노(Noh)극 二人静|후타리 시즈카일본어에서 유래된 이 스타일은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双生隅田川|후타고 스미다가와일본어와 같은 많은 연극에서 유행하게 되었다. 가장 유명한 연극은 双面|후타오모테일본어 (가부키극 法界坊|호카이보일본어의 마지막 막)와 双面道成寺|후타오모테 도조지일본어이다. 이 연극에서 주인공은 안에 두 개의 영혼을 가진 유령이다. 서로를 죽인 두 연인의 영혼이 복수심에 불타는 반 남자, 반 여자 영혼으로 합쳐진다.

연극 에서 나카무라 후쿠스케 6세.


광기(狂気)에 관한 노(能)의 극에서 영감을 받아, 이 주제는 가부키의 초기 시대부터 춤극에서 발전했다.[30] 사랑에 빠진 광기를 주제로 한 것 외에도, 또 다른 흔한 狂乱物|교란 모노일본어의 주제는 자녀를 잃은 데서 오는 광기였다. 에도 시대에는 아이가 서커스단에 팔려갈 수도 있었다. 狂乱物|교란 모노일본어에서는 아이의 어머니인 중심 인물이 슬픔으로 인해 정신을 잃고, 아이를 찾아 노래하고 춤을 추는 떠돌이 예술가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노에서는 이 주제가 隅田川|스미다 가와일본어, 桜川|사쿠라 가와일본어 및 三井寺|미이데라일본어에서 다루어진다.

  • 남성의 광기: 二人椀久|니닌 완큐일본어, 保名|야스나일본어
  • 여성의 광기: お夏狂乱|오나츠 교란일본어, 鞍馬獅子|쿠라마 지시일본어, 隅田川|스미다 가와일본어, 賤機帯|시즈하타 오비일본어.[30]


'''풍경 묘사'''

: 일본 미술에는 목적지를 향하는 여정을 묘사하는 道行物|미치유키 모노일본어(서정적인 여행극)라고 불리는 스타일이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31] 이 테마는 에도 시대 사람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는데, 막부 통치하에서 이동의 제약과 대조적으로 여행의 자유를 묘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행자들은 또한 잘못에 대한 보상이나 여정에서 만난 사람에 대한 애착 등, 떠나야만 하는 멜랑콜리에 직면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32] 道行物|미치유키 모노일본어 테마는 가부키 극 八段目|하치단메일본어 (가부키 극 仮名手本忠臣蔵의 8막), 吉野山|요시노야마일본어 (가부키 극 義経千本桜의 4막), 道行恋の苧環|미치유키 코이노 오다마키일본어 (가부키 극 妹背山婦女庭訓의 4막)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33]

'''동반 자살'''

: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극 曾根崎心中 (소네자키의 동반 자살) 이후로, 道行物|미치유키 모노일본어 장르는 동반 자살이라는 테마와 연관되어 왔다. 즉, 한 쌍의 남녀가 여정의 끝에서 서로를 죽일 것을 고려하는 것이다. 여기서 등장인물의 심리가 전면에 부각되고, 풍경 묘사는 배경이 된다.[31] 이후, 새로운 스타일이 유행하기 시작했는데, 행상이나 거리의 예술가가 커플의 여정에 개입하여 그들에게 훈계하는 것이다. 落人|오치우도일본어 (가부키 극 仮名手本忠臣蔵의 4막), 梅川|우메가와일본어, お染|오소메일본어 등이 그 예이다.[34]

일본 무용수가 공연 중인 모습


変化物 (변화물)에서는 같은 배우가 의상을 빠르게 바꿔가며 여러 배역으로 변신하며, 세 명에서 열두 명(보통 일곱 명)의 배역을 차례로 연기하는데, 시대와 사회 계층을 넘나드는 남녀노소, 동물, 유령, 신 등을 연기한다.[35] 헨게 모노는 19세기 초에 매우 인기가 높았으며, 특히 두 명의 위대한 배우인 반도 미쓰고로 3세와 나카무라 우타에몬 3세가 이 장르를 발전시키기 위해 경쟁했다.[36] 오늘날 헨게 모노 장르는 각각의 배역에 해당하는 여러 연극으로 나뉘어 독립적으로 공연되는데, 유명한 연극인 후지 무스메가 그 예시로, 원래는 다섯 번의 빠른 변신으로 이루어진 연극의 첫 번째 부분이었다. 소녀는 장님(자토), 천구, 사무라이의 하인(얏코), 뱃사공으로 변한다. 오늘날, 많은 헨게 모노 연극은 더 이상 전체가 존재하지 않지만, 한 가지 예외가 있는데, 六歌仙容彩|로카센 스가타노 이로도리일본어(여섯 명의 위대한 시인)로, 한 명의 배우가 5명의 시인으로 변신하는 연극이며, 5번의 빠른 변신이 모두 남아 알려져 있다.

가장 유명한 헨게 모노 연극으로는 藤娘, 京鹿子娘道成寺, 鷺娘|사기 무스메일본어, 汐汲|시오쿠미일본어, 黒塚|쿠로즈카일본어, 累|카사네일본어, 保名|야스나일본어, 六歌仙容彩|로카센 스가타노 이로도리일본어가 있다.[35]

(가다랭이 장수)를 연기하는 니혼 부요 무용수

  • 전통 축제(祭り|마쓰리일본어): 대중의 삶의 즐거움은 의심할 여지 없이 祭り|마쓰리일본어였으며, 이 주제에 대한 많은 작품들이 이 축제에 대한 사람들의 열정을 보여준다. お祭り|오마쓰리일본어, 三社祭, 神田祭, 紀尾井獅子|기오이 지시일본어 등.[37]
  • 연례 행사: 娘七草|무스메 나나쿠사일본어, 元禄花見踊り|겐로쿠 하나미 오도리일본어, 流星|류세이일본어 등.[37]
  • 행상인: 에도 시민들의 직업은 놀라울 정도로 다양했고, 에도의 거리를 활기차게 만들었던 행상인이나 거리 공연가가 포함되어 있었다. 행상인은 단순한 판매원이 아니라 아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때로는 코믹한 다양한 공연이나 노래를 동반했고, 어떤 경우에는 사치스러운 의상을 입기도 했다. 団子売|당고우리일본어, 吉原雀|요시와라 스즈메일본어, 玉屋|다마야일본어, 粟餅|아와모치일본어, 大原女|오하라마일본어, 鰹売|가쓰오우리일본어 등.[38]
  • 거리 예술가: 越後獅子|에치고 지시일본어, 傀儡師|카이라이시일본어, 頓挫|돈츠쿠일본어, かっぽれ|캇포레일본어 등.[39]

6. 1. 분류

센기쿠 반도의 공연 .


일본 무용의 연극은 주로 에도 시대에 만들어진 가부키 무용극(所作事|쇼사고토일본어)으로, 京鹿子娘道成寺와 藤娘 등이 있다. 또한 가부키 춤 기법으로 안무된 연극도 있다.[24] 연극의 주제는 전설, 고전 문학, 역사적 인물, 범죄 이야기, 에도 시대의 삶과 관습 등 다양하다. 노(能), 狂言, 文楽 극의 각색도 있다.

한 사람이 추는 연극이 레퍼토리의 약 60%를 차지하며, 두 명 이상이 추는 연극이 나머지 레퍼토리를 구성한다. 약 60%의 연극은 드라마가 없는 순수한 춤극(변신극, 에도 시대 일상극, 축제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드라마틱한 연극은 약 40%이다.[25]

모든 부분을 완벽하게 분류할 수는 없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눌 수 있다:[26]

7. 유파

일본에는 약 200개의 일본 무용 유파가 존재한다.[46] 그중에서도 특히 니시카와류, 후지마류, 반도류, 하나야기류, 와카야기류를 '''5대 유파'''라고 부르며, 이들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5대 유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가에이 5년(1852년)에 발행된 번호표에는 14개의 유파만 기재되었으나, 다이쇼 시대에 들어 급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분파와 새로운 유파 창설이 더욱 활발해져, 일본 무용 협회에 가입된 유파만 약 120개에 달하며, 미가입 유파나 신무용 유파까지 합하면 그 수는 훨씬 많다.[46]

아래 목록은 "일본 무용", "무용"으로 분류되는 유파만을 기재한 것이다. 그 외 유파에 대해서는 일본 무용 유파 목록 문서를, 가미가타마이 등의 유파에 대해서는 가미가타마이, 신무용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7. 1. 5대 유파

일본 무용에는 현재 200개가 넘는 유파가 존재하며, 그중에서도 특히 니시카와류, 후지마류, 반도류, 하나야기류, 와카야기류를 '''5대 유파'''라고 부른다.

  • '''니시카와류''' 西川流일본어
  • 겐로쿠 시대(1688년~1704년)에 초대 니시카와 센조가 창시했다.[44] 2대 이후 종가(宗家)는 대대로 니시카와 센조의 이름을 계승한다. 300년의 역사를 가졌으며, 많은 유파의 근원이 된 가장 오래된 유파이다.[44] 10대 니시카와 센조는 인간 국보로 지정되었다.
  • '''후지마류''' 藤間流일본어
  • 호에이 시대(1704년~1711년)에 초대 후지마 간베에가 창시했다.[42] 후에 니혼바시 가야바초의 후지마 간주로 가문과 니혼바시 하마초의 후지마 간에몬 가문으로 나뉘었다. 간에몬 가문에서는 3세 후지마 간에몬(7대 마츠모토 고시로)이 나와 마츠모토류를 파생시켰다.
  • '''반도류''' 坂東流일본어
  • 가세이 시대(1804년~1830년)를 대표하는 가부키 배우인 3대 반도 미쓰고로를 유조(流祖)로 한다.[45] 3대 미쓰고로는 에도 가부키 최고의 무용 명인으로 평가받으며, 소사(所作, 쇼사: 가부키의 무용 또는 무용극)에 많은 명작을 남겼다. 단순히 춤을 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작품을 연극적으로 파악하여 "연기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특징이 있다.
  • '''하나야기류''' 花柳流일본어
  • 가에이 2년(1849년)에 초대 하나야기 주스케가 창시했다.[41] 그는 니시카와류의 4대 니시카와 센조에게 배웠으며, 가부키 무용의 안무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자녀들의 예능 교육으로 보급되었으나, 현재는 조직력이 강하여 나토리(名取, 명취) 약 1만 5천 명을 거느린 최대 유파가 되었다.
  • '''와카야기류''' 若柳流일본어
  • 메이지 26년(1893년)에 초대 하나야기 주스케의 제자인 하나야기 요시마츠(花柳芳松)가 와카야기 요시마츠(若柳吉松, 후에 와카야기 주도)로 개명하여 창시했다.[43] 하나마치(花街, 유흥가)에서 발전했기 때문에 손동작이 많고 품위 있는 안무가 특징이다.

8. 저명한 인물


  • 우노 마스미 (1932년 출생)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ese Traditional Theat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10-01
[2] 웹사이트 What is Nihon Buyo? http://www.nihonbuyo[...]
[3] 간행물 Shoyo's Nihon Buyo https://sdhs.org/pro[...]
[4] 서적 Global perspectives on dance pedagogy https://books.google[...] 2009
[5] 웹사이트 What is nihon buyo? http://www.nihonbuyo[...] 2006-05-06
[6] 서적 Sensational Knowledge: Embodying Culture Through Japanese Dance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7-05-07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6-29
[8] 서적 Sensation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7-05-07
[9] 서적 Kōjien Iwanami Shoten
[10] 서적 Kōjien Iwanami Shoten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서적 2001
[37] 서적 1988
[38] 서적 1988
[39] 서적 2001
[40] 서적 1999
[41] 서적 1976
[42] 서적 1976
[43] 서적 1976
[44] 서적 1976
[45] 서적 1976
[46] 서적 日本舞踊ハンドブック改訂版 三省堂 2010-06-20
[4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ese Traditional Theat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